겪어보지 못한 시절이지만 그래도 이 시대에 한국에 사는 것은 여러모로 참, 행운인 것 같습니다. 누군가는 할 일 없는 국뽕이라 여길 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화가 많지만? 남 힘든 거 두 눈 뜨고 잘 못 보는 오지랖 퍼, 츤데레~ 우리 국민과 정부 모두 이 시간을 잘 넘어가고 도우며 견뎌내길 기대합니다. 제가 어제 남긴 소상공인 방역지원금도 같은 이유겠지요.(한번 들려서 확인해 보세요.)
먼저 희망두배 청년 통장이란 어떤 정책일까요?
저도 이번에 확실하게 알게 되었는데 청년 참여자가 매월 적립하는 저축의 액수의 100%를 시에서 같이 적립하고 만기 시 두배로 돌려주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 한 마디로 한 개 주고 두 개 가져오는 어려운 청년들에게 희망을 가질 수 있는 단비 같은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월 15만원 씩 3년 간 저축 경우에 본인 저축액 540만 원 + 서울시 지원액 540만 원 =1,080만 원과 이자지급이 주어집니다.
〈 월 저축가능 금액 및 지원내용 〉
〈 모집인원 : 총 7,000명(가구당 1명 신청)〉
올해부터 부모나 배우자의 기준 연 1억 원 미만(세전 834만 원), 재산 9억 원 미만이면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기준이 작년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보다 훨씬 완화된 것으로 그만큼 많은 청년들이 도전해 볼 수 있습니다. 만 18~34세 청년 기준으로 본인의 월 소득 255만 원 이하가 대상입니다.
희망 두배 청년 통장 신청 기간 : 2022년 6월 2일 ~ 24일
최종 대상자 및 예비대상자 선정 발표 : 2022. 10. 14.(금) 예정
해당 기간동안 주소지의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이메일로 구비서류를 제출하여 신청할 수 있고 더 자세한 상황을 알고 싶다면 콜센터 ☎1688-1453(국번없이)나 다산콜(02-120)을 통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서류도 올려 두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제출서류
① 가입신청서
② 신분증 사본
③ 소득?재산신고서(본인, 부양의무자)
④ 개인정보제공동의서(본인)
⑤ 개인정보제공동의서(부양의무자)
⑥ 사회보장급여신청(변경)서(본인, 부양의무자)
⑦ 금융정보제공동의서(본인)
⑧ 주민등록초본(최근5년, 주민등록번호 포함)
⑨ 주민등록등본(세대원 주민등록번호포함)
⑩ 가족관계증명서(상세) 2부.
(부 또는 모 기준 1부, 본인 기준 1부 제출 - 주민등록번호 포함)
서울시는 희망두배 청년 통장을 통해 지난 7년 간 총 18,100명의 자산형성의 기회를 제공했고 특히 지난해에는 예년보다 두 배 이상 인원을 늘린 7,000명 모집에 17,034명이 신청했을 정도로 청년들의 관심과 호응이 높았다고 하네요.
신청에 합격한 청년들은 자산형성지원 외에도 합리적인 금융소비를 위한 금융교육, 1:1 재무컨설팅,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와 연계한 각종 프로그램·심리지원·집단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가 주어진다고 하니 이번 정책에 합격하면 어려운 이때에 너무 힘이 날 것 같습니다.
비슷한 정책으로 같은 기간동안 만 14세 이하 저소득층 가족과 아동의 자산형성을 도와주는 꿈나래통장도 300명을 모집한다고 하니 해당 어린이들도 한번 신청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누군가에게 잊지 못할 귀한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파이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금피크제 위헌? 합헌? 정리 해 봅니다. (0) | 2022.06.03 |
---|---|
추가경정예산 62조 원 확정,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최대 1000만원! (0) | 2022.05.31 |
과테료 없이 전월세(임대차)신고제 1년 연장 (0) | 2022.05.27 |
소상공인 코로나 방역지원금 600만원 지급 확정! 시기 및 대상 등, 총 정리 (0) | 2022.05.24 |